반응형
단통법 폐지가 확정되면서 공시지원금 제도 역시 큰 변화를 앞두고 있습니다. 이제 휴대폰을 구매할 때 받던 공시지원금 할인이 사라질 수도 있는데요, 지금이 마지막일 수도 있는 선택의 기로에서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, 무엇이 더 이득일지 확실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어떻게 다를까?
휴대폰을 약정으로 구매할 때는 두 가지 할인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공시지원금: 휴대폰 단말기 가격에서 할인(2년 약정 기준)
- 선택약정: 매달 통신요금의 25%를 할인(1년 또는 2년 약정 가능)
두 방식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하므로, 본인의 사용 패턴에 따라 유리한 쪽을 선택해야 합니다.
실제 사례로 비교해 보기
고가 요금제 사용시 : 선택약정이 유리
- 기기: 갤럭시 S25 (출고가 115만 원)
- 요금제: 월 9만 원 (무제한 데이터 기준)
- 약정기간: 24개월
항목 | 선택약정 | 공시지원금 |
통신비 총액 | 216만 원 | 216만 원 |
할인 혜택 | -54만 원 (요금 할인) | -30만 원 (단말기 할인) |
총 지불 금액 | 277만 원 | 301만 원 |
➤ 선택약정이 24만 원 더 유리합니다.
저가 요금제 사용시 : 공시지원금이 유리
요금제: 월 4만 원 요금제
항목 | 선택약정 | 공시지원금 |
통신비 총액 | 96만 원 | 96만 원 |
할인 혜택 | -24만 원 (요금 할인) | -30만 원 (단말기 할인) |
총 지불 금액 | 187만 원 | 181만 원 |
➤ 공시지원금이 6만 원 더 유리합니다.
선택기준 요약
사용 | 요금제유리한 할인 방식 |
고가 요금제 | 선택약정 |
저가 요금제 | 공시지원금 |
단, 두 할인 금액이 비슷하다면?
➡ 공시지원금을 선택하는 게 이득입니다. 왜냐하면 공시지원금으로 할인받은 금액엔 할부 이자가 붙지 않기 때문이죠.
공시지원금 많이 받는 방법 3가지
- 높은 요금제 사용
➤ 6개월 유지 후 낮추는 방법도 가능. - 구형 단말기 선택
➤ 단종되었거나 오래된 모델일수록 공시지원금이 많음. - 애플 제외 모델 선택
➤ 애플은 공시지원금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음.
자급제 구매시, 선택약정보다 좋은 방법은?
자급제로 휴대폰을 구매하면 공시지원금은 적용되지 않고 선택약정만 가능합니다. 하지만 알뜰폰 요금제 프로모션을 활용하면 선택약정보다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- 6~12개월간 요금 50% 할인
- 2년 기준 약 20만 원 절약 가능
- 단, 프로모션 종료 시 요금제 변경 필요
마무리 정리
- 선택약정 > 공시지원금: 고가 요금제 사용자
- 공시지원금 > 선택약정: 저가 요금제 사용자
- 비슷한 할인 금액이라면? → 공시지원금 선택!
- 자급제 구매자는 알뜰폰 요금제 적극 활용!
지금이 기회! 아정당에서 최대 혜택으로 바꿔보세요
📱 단통법 폐지 전, 공시지원금 끝물 혜택
💰 전환 지원금 최대 50만 원
🍎 아이폰도 약정 없이 개통 가능
반응형